우리는
늘 최선의 노력을 강요하지만 최선의 노력이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선택의 상황에서
최적의 결정이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고의
성과를 올리기 위한 최적의 노력을 객관적인 수치로 계산할 수 있다면, 100%를 지향하지 않고도 최고의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책은
데이터와 통계에 기반을 둔 최적의 의사결정법을 알아본다.
■
저자
오가와
코헤이(小川活平)
-
공학박사
-
1972년 도쿄공업대학 대학원 이공학연구과 박사과정 화학공학 전공 수료
-
도쿄공업대학 교수
-
현재 도쿄공업대학 명예교수
■
감역자
옥태준
-
주식회사 하도 대표이사
-
전)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
-
동경공업대학 화학공학 석사, 박사
-
서강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
『정보엔트로피라는 안경으로 본 화학공학』 번역
■
역자
김영진
『김영진
일본어 한자 읽기 사전』의 저자로 알려진 그는 현재 미국의 ‘Nutrition Therapy Institute’에 입학하여 21세기 최첨단
영양학인 홀리스틱영양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최근 번역서로는 『수혈의 배신』, 『의사의 거짓말』, 『안 아프고 건강하게 사는 법』 등이 있다.
또한 건강에 관한 최신 정보를 블로그 vitamin119.co.kr에서 제공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기초 사항
1.
불안도 ‧ 기대도의 정량적 표현
(불안도
AEA
‧ 기대도 AEE
곡선의
표시식)
2.
객관적으로 주어진 확률(객관확률)과 그것을 감각으로 파악한 확률(주관확률)
3.
기대도 AEE
곡선과
불안도 AEA
곡선의
유용성 확인
3-1
얼마
주면 도박을 중단할래? 어느 쪽 도박을 선택할래?
설문 1 - 얼마 주면 이 도박을 중단할래?
설문 2 - 어느 쪽 도박을 선호하는가?
3-2
이런
결과는 생각할 수 없다!
설문 3 -이런 모순된 응답을 하는 이유는?
4.
기대도 AEE
곡선,
불안도 AEA
곡선의
활용
4-1
합격점은
60점
설문 4 - 학교
시험 등의 합격점은 왜 60점 이상인가?
4-2
소문이 꼬리를 물고 확산되면 결국에는?
설문
5 - ‘그것은 85%의 확률이야’라는 소문이 꼬리를 물고 끊임없이 확산되면 결국에는 몇 %가 될까?
4-3
계층분류했을 때의 계층의 폭
설문
6 - 어떤 대상을 주관적 평가치에 따라 3, 5, 7, 9, 11계층으로 분류할 때의 대응 하는 객관확률 축상의 범위를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제2장
활용
1.
불안도 AEA
곡선·기대도
AEE
곡선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1-1
개선책 실시 여부의 판단
설문 7 - 개선책의 성공확률이 얼마 이상이면 그 개선책을 실시해야 하는가?
1-2
개선에 필요한 비용과 이익
설문 8 - 필요경비도 고려하여 개선책의 성공확률이 어느 정도라면 개선책을 실시해야 하는가? (1)
1-3 개선에 필요한 비용과 개선책 실시 여부를 판단함
설문 9 - 필요경비도 고려하여 개선책의 성공확률이 어느 정도라면 개선책을 실시해야 하는가? (2)